본문 바로가기

영양학57

위식도역류 질환 & 식도이완불능 - 위식도역류질환 - 위식도 역류질환은 하부식도괄약근의 기능 부전으로 산성위액과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이로 인하여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1. 원인 하부식도 괄약근 이상, 약물, 노화, 복압상승(비만, 임신, 옷), 구토, 과식, 고지방식 등으로 인해 발생 한다. 2. 증상 속쓰림(heart burn), 구토, 메스꺼움, 연하곤란, 신트림, 식도점막염증, 궤양, 출혈등이 일어난다. - 바렛식도: 정상적인 편평상피세포(납작한 형태)가 원주상피세포(키가 큰 형태)로 바뀌는 것으로 심한 위식도 역류질환의 합병증으로 식도역류가 오래 되면 위와 연결되는 식도 끝 부분의 점막이 위산에 노출되면서 정상 식도 점막을 이루는 편평상피세포가 위에서 관찰되는 원주상피세포로 변하게 된다.. 2023. 7. 27.
구강건조증 & 연하곤란 - 구강건조증 - 구강건조증은 타액분비 감소로 입안이 건조,점막이 갈라지고 함몰되는 증세를 말 한다 1. 원인 쇼그렌 증후군,당뇨,영양소 결핍,빈혈 등의 전신적인 원인해 의해 타액의 양이 줄수 있다.또한 신경계 질환이나 다양한 약물 복용으로도 구강 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쇼그렌 증후근 -인체 밖으로 액체를 분비하는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침범하여 눈물과 침의 분비가 감소시켜 안구건조 및 구강 건조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만성자가면역질환으로 대부분 40대 이상의 여성에게 상대적으로 많이 발병된다. 2. 증상 치아우식증, 구내염, 잇몸질환, 구취등이 발생하며, 구강 건조감이 심해지면 음식을 씹어 삼키기 힘들어지고 말을 할때도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침이 소화 작용을 못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화 장애.. 2023. 7. 26.
음주와 건강 2 - 음주와 건강 - 1. 알코올과 질환 1) 알코올과 간 질환 (1) 많은 양의 알코올을 상용하는 경우 지방간, 간염, 간경화 등의 간 장애가 많이 발생한다. (2) 알코올은 지방분해를 저해하여 지방이 완전 연소하지 못하게 하여 간 조직 내에 축적함으로써 지방간을 일으킨다. (3) 단백질도 간에 축적되는데, 이때 많은 양의 수분을 보유해 간이 비대해지고 부어오르게 된다. (4) 간이 비대해지면 간 내 영양소 및 산소 분포가 원활하지 못해 간세포의 괴사가 일어나고 이 부위에 섬유증이 생겨 간의 신축성이 저하된다. (5) 간경화증은 간세포가 괴사하여 간 기능이 퇴화하면서 정상 간 조직이 점차 섬유성 결합 조직으로 교체되어 신축성을 잃고 경화되는 현상이다. 2) 알코올과 심장 순환계 질환 (1) 다량의 알코올.. 2023. 6. 22.
음주와 건강 1 (알코올의 대사와 영양) - 알코올 대사 - 1. 알코올음료의 에탄올 성분은 주로 위장과 소장으로부터 흡수되어 간으로 옮겨져 대사되나, 일부는 흡수되기 전에 이미 위장에서 대사됨으로써 뇌에 도달하는 알코올의 농도를 낮추게 된다. 2. 알코올 대사 1) 1단계 : 알코올 탈수소효소가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전환한다. 2) 2단계 :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산화된다. 3) 각 단계에서 산화된 NAD로부터 1분자의 환원형 NADH가 생성되며, NAD는 조효소 역할을 한다. 4) 3단계 : 생성된 아세트산은 이산화탄소와 물로 대사되거나 다른 분자의 합성에 쓰이게 되며 혈액을 통해 다른 조직으로 운반된다. 5) 알코올 산화의 1차 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산화하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는 여러 조직에.. 2023.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