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2

수용성 비타민 엽산과 비타민 B12 - 엽산 - 1. 체내 기능 - 여러 가지 아미노산 전이 과정이나 티미딜산(dTMP) 합성과정에 단일 탄소기를 전해주는 조효소 형태 전환된다. - 엽산이 조효소로 작용하는 가장 중요한 반응은 DNA 복제와 세포분열에 필요한 dTMP를 데옥시 유리될 산(dUMP)으로부터 합성하는 반응이며, 이 반응에서 5, 10-메틸렌-THF가 조효소로 사용된다. - 히스티딘 대사의 중간 대사물질인 포름-이미노글루탐산(FIGLU)의 대사 과정, 푸린 고리의 생합성 과정, 글리신으로부터 세린을 합성하는 반응에 엽산이 조효소로 작용한다. - 호모시스테인으로부터 메싸이오닌을 합성하는 반응에 메싸이오닌 합성효소가 관여하는데, 이 반응은 체내에서 유일하게 엽산과 비타민 B12를 동시에 필요로 하는 반응이고, 체내 메싸이오닌을 유지.. 2023. 4. 12.
수용성 비타민 바이오틴과 비타민 B6 - 바이오틴- 1. 체내기능 - 바이오틴은 황을 함유한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포도당 함성 및 지방산 합성과정에서 조효소로 작용하며, 아미노산으로부터 에너지 생성 과정과 DNA 합성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카르복실화 반응 ① 바이오틴은 생체 내 대사 과정 중 카복실기를 제공하는 카복실화 효소의 조효소로 작용한다. ② 이 반응은 주로 간에서 일어나며 포도당 신생합성의 첫 반응이다. ③ 피루브산에 이산화탄소를 첨가하여 옥살로 아세트산을 형성하는 반응이다. -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탈탄산효소의 조효소로도 작용한다. - 카복실기 전이 반응 ① 메틸 말로일-CoA 카복실기 전이효소에 바이오틴이 조효소로 필요하다. ② 이 효소는 탄수화물이 프로피온산으로 발효되는 과정 중 이산화탄소를 이동시키는 데 관여한다... 2023. 4. 11.
수용성 비타민 니아신과 판토텐산 - 니아신- - 니아신의 함량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단위는 니아신 당량(mgNE)으로서 60mg의 트립토판이 1mg의 니아신으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 니아신은 니코틴산과 니코틴아마이드로 존재하며 카복실기(-COOH) 또는 아마이드기(-NH2)를 갖는다. - 트립토판이 니아신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비타민 B6, 리보플래빈이 조효소로 작용한다. 1. 체내 기능 - 세포 내 산화-환원반응의 조효소 ① 니아신의 조효소 형태는 니코틴아마이드 디뉴클레오티드(NAD)와 니코틴아마이드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NADP)로서 체내의 산화-환원 반응에 참여한다. ② 에너지 영양소들로부터 ATP를 생성하는 대사 과정에 필수적인 조효소로서 작용한다. ③ NAD를 조효소로 사용하는 탈수소효소 : 알코올 탈수소효소 1) N.. 2023. 4. 11.
수용성 비티민 티아민과 리보프래빈 - 티아민 - - 티아민은 질소를 함유하는 6 원자 고리구조인 피리미딘과 황을 함유하는 5 원자 고리구조인 티아졸이 메틸렌기(-CH2-)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진 화합물이다. - 티아민은 장시간 가열조리 하면 분자 내에 있는 양쪽 고리구조와 메틸렌기 사이의 화학결합이 쉽게 끊어져 비타민의 기능을 잃게 된다. 1. 체내 기능 - 티아민의 조효소 형태는 티아민에 두 개의 인산기가 결합하여 형성된 티아민 피로인산(TPP)이다. - 티아민이 결핍되면 탄수화물이 에너지 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ATP 합성이 저조해지며, 케톤기 전이 반응의 저하로 인해 NADPH와 오탄당의 합성이 저하되므로 지방산과 핵산 합성 이상을 초래하고 신경전달 및 조절에 장애가 나타난다. - TPP는 다음과 같은 반응에서 조효소로 작용한다... 2023.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