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2

지질의 운반과 대사 -지질의 운반과 대사- 1. 지단백질의 종류 및 대사 - 지단백질 : 지질을 혈액 내에서 운반하는 특별한 수송체계이다. - 지단백질은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 같은 비극성 물질은 안쪽에 있고, 인지질이나 단백질과 같은 극성물질이 바깥 부분을 둘러싸고 있어 혈액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 종류 : 카일로미크론, VLDL, LDL, HDL 지단백질 종류 주요 생성 장소 특징 카일로미크론 소장 식이의 중성지질을 운반하는 지단백으로 중성지질이 풍부해 밀도가 가장 낮다. 공복 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생성 후 분해되는 속도가 빠르다. VLDL 간 간에서 합성되는 중성지질을 조직으로 운반하는 지단백으로 밀도가 2번째로 낮다. LDL 혈액 내에서 전환 콜레스테롤 에스테르(CE)가 가장 많은 지단백으로 L.. 2023. 4. 2.
지질의 분류와 구조 및 기능 -지질의 분류 및 구조- 1. 지방산 - 구조 ① 긴 탄소 사슬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많은 수소가 결합 되어있다. ② 카복실기(-COOH)로부터 시작하고 α-탄소로부터 소수성인 긴 탄화수소로 구성되며 오메가(ω) 부분인 메틸기(-CH3)로 끝난다. - 분류 ① 탄소 사슬의 길이에 따라 구분 : 짧은 사슬 지방산(탄소수 4~6개), 중간 사슬 지방산(8~12개), 긴 사슬 지방산(14~20개), 매우 긴 사슬 지방산(22개 이상) ② 포화도에 따라 구분 : 포화지방산(이중결합 0개), 단일불포화지방산(1개), 다가불포화지방산(2개↑) ③ 형태에 따라 구분 : 불포화지방산은 대부분 시스형으로 존재하며, 일부는 트랜스형으로 존재한다. 지방산 급원 포화지방산 라우르산(C12:0) 팜핵유, 코코넛유 등 팔미트산.. 2023. 4. 2.
탄수화물과 건강 -탄수화물과 건강- 1. 당뇨병 - 고혈당과 당뇨가 나타나는 만성 대사질환 - 원인 :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분비가 감소하였거나, 인슐린의 작용에 문제가 생김. - 당뇨병의 진단 ① 당뇨병의 진단기준 - 공복혈당 : 70~100mg/dL 범위이면 정상이고, 126mg/dL 이상이면 당뇨병이다. - 식후 2시간 혈당 : 90~140mg/dL 범위이면 정상이고, 200mg/dL 이상이면 당뇨병이다. - 당화혈색소 : 5.7% 미만일 때 정상이며, 6.5% 이상이면 당뇨병이다. ② 포도당 내성검사 : 포도당의 세포로의 유입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일정량(75g, 또는 1g/체중 kg)의 포도당을 먹은 후 혈당의 농도를 측정하여 판단한다. → 정상인은 공복 시 80mg/100ml 정도에서, 포도당 섭취 .. 2023. 4. 1.
탄수화물의 대사 -탄수화물의 대사- 1. 단당류 대사 - 포도당 ① 포도당은 해당과정과 TCA 회로를 거쳐 조직에 필요한 에너지를 즉시 공급한다. ② 과량의 당은 글리코겐을 합성하여 간이나 근육에 저장되거나, 지방산으로 전환되어 피하조직에서 중성지방을 합성한 후 저장된다. ③ 일부 포도당은 리보스, 데옥시리보스, 과당, 글루코사민 등으로 전환되거나 비필수 아미노산의 합성에 쓰인다. - 과당 ① 간에서 포도당으로 전환된다. ② 과당은 해당과정에서 속도 조절 단계를 거치지 않고 중간 단계인 디히드록시 아세톤 인산의 형태로 들어가므로 아세틸 CoA 전환속도가 증가하여 지방산 합성속도가 증가한다. ③ 과당이 세포 내로 이동하는 것은 인슐린 의존성이 아니다. - 갈락토스 : 간에서 글리코겐을 합성하거나, 글루코스 1-인산으로 전.. 2023.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