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롬 -
1. 체내 기능
1) 당 내성인자의 성분으로 당질 대사에 관여
(1) 크롬은 당내성인자라고 하는 유기 복합체의 필수적인 성분으로 인슐린 작용을 강화하며, 이에 따라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대사에 관여하는 필수영양소이다.
(2) 크롬의 대표적 기능은 세포 내로 포도당을 유입하게 돕는 것이다.
2) 지질대사에 관여 : 크롬 보충 시 혈청 콜레스테롤이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이 약간 증가한다.
3) 핵산의 구조를 안정화 : DNA나 RNA 같은 핵산의 구조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한다.
2. 흡수와 대사
1) 크롬 이온은 +2가에서 +6가의 형으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 중 흔한 형태는 +2, +3, +6가의 이온이다.
2) 무기크롬의 흡수는 식이요법으로 섭취하는 정도에 따라 다르며 크롬의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흡수율이 낮다.
3) 크롬은 옥살산이 존재할 때나 철이 결핍된 상태일 때 그 흡수가 증가하고, 식이요법으로 섭취하는 크롬의 양이 적을 때에도 흡수가 증가한다.
4) 크롬은 혈청 트랜스페린이나 알부민과 결합하여 이동하는데, 주로 트랜스페린과 결합한다.
5) 트랜스페린이 철로 포화하였을 때 크롬의 이동이나 체내 보유가 줄어든다.
6) 이외에 α-글로불린, β-글로불린이나 지단백질이 크롬과 결합해 크롬 대사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7) 크롬은 체내에 고루 분포하고 흡수된 크롬은 주로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며, 소량만이 머리카락, 땀, 담즙의 형태로 배설된다.
3. 영양상태 평가
1) 혈청이나 혈장 내 농도, 머리카락과 소변의 함량을 측정한다.
2) 소변으로 배설되는 크롬양은 크롬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4. 크롬이 풍부한 식품 : 간, 계란, 전밀, 밀겨, 밀배아 등 도정하지 않은 곡류, 육류, 이스트 등이 있다.
5. 필요량
1) 식사로 섭취하는 크롬양과 국민건강영양조사(08-12) 결과를 토대로 성인의 크롬 충분 섭취량을 설정하였다.
2) 남자 성인과 노인의 크롬 충분 섭취량은 31일 5㎍, 여자 성인과 노인의 경우 1일 25㎍이다.
6. 결핍증
1) 크롬이 결핍될 때 그대로 성장이 지연되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수준이 증가하거나 동맥에 혈전이 생기는 등 지질 대사에 이상이 온다.
2) 크롬이 부족할 때 각막이 손상되거나 불임 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 몰리브덴 -
1. 체내 기능
1) 몰리브덴은 잔틴 탈수소효소나 잔틴 산화효소, 알데하이드 산화효소 등 여러 효소의 보조인자로서 대사 작용에 관여한다.
2) 잔틴 산화효소는 잔틴을 요산으로 전환하는 효소이며, 조직이 손상된 경우에는 탈수 소형의 효소에서 산화효소의 형을 변한다.
3) 알데하이드 산화효소의 보조인자로도 작용하여 알데하이드를 카복실산으로 바꾸는 반응에도 관여하며 피리미딘과 퓨린 등의 화합물의 산화를 억제한다.
2. 흡수와 대사
1) 식이요법으로 섭취한 몰리브덴은 25~80% 정도가 흡수된다.
2) 식이 내 몰리브덴의 함량이 낮을 때 장의 흡수효율이 향상하며, 능동수송과 확산을 통해 흡수된다.
3) 몰리브덴은 철과 구리 등의 무기질과 상호작용이 크며, 특히 구리와 경쟁적으로 흡수된다.
4) 체내에서 간과 신장에 비교적 몰리브덴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3. 몰리브덴이 풍부한 식품 : 밀배아, 전곡류, 말린 콩, 간 등의 내장육, 우유 및 유제품 등이 있다.
4. 필요량
1) 몰리브덴의 평균 필요량은 균형 연구 결과를 토대로 10~29세 성인 남자의 경우 25㎍/일, 이외의 성인과 노인은 20㎍/일로 설정하였다.
2) 몰리브덴의 권장섭취량은 평균 필요량의 120%로 설정하여 19~29세 성인 남자는 30㎍/일, 이외의 성인과 노인의 경우 25㎍/일이다.
3) 몰리브덴의 상한 섭취량은 최대 무해 용량(900㎍/kg/일), 불확실계수(100)와 성인의 평균 체중을 적용하여 설정하였고, 성인과 노인 남자는 550㎍/일, 성인과 노인 여자는 450㎍/일로 설정되어 있다.
'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주와 건강 2 (0) | 2023.06.22 |
---|---|
음주와 건강 1 (알코올의 대사와 영양) (0) | 2023.06.14 |
미량 무기질 불소와 망간 (0) | 2023.06.01 |
미량 무기질 요오드 (0) | 2023.05.30 |
미량 무기질 구리 (0) | 2023.05.17 |
댓글